대장암 종양 크기와 국소림프절 수와의 상관관계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대장암 종양 크기와 국소림프절 수와의 상관관계
2019 12 13
활용데이터
건수: 2014년 대장암 환자 암 병기 데이터 중, 측정되지 않은 값을 나타내는 코드의 환자 데이터를 제외한 1399건
활용 속성: T_SIZE, LNEXAM
설명
본 시각화는 2014년 대장암 암병기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로, 환자 별 종양 크기와 국소림프절의 총 개수의 상관 관계를, 시각화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다.
대장 환자의 종양크기(Tumor Size)와 국소림프절 수(LNEXAM)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X축 변수를 종양크기, y축 변수를 국소림프절 개수로 놓고 산점도와 함께 선형회귀선(P<0.05)를 그려보았다.
그 결과, 두 변수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종양의 크기나 림프절 수는 모두 암의 진행상태와 상관이 있는 변수이기에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상관관계의 정도를 확인하는 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ggplot(colonCS, aes(x=T_SIZE, y=LNEXAM)) + geom_point(shape=8, size=2, color="orange") + stat_smooth(method=lm, level=0.95)
두 변수 간의 상관 관계 수준을 피어슨상관관계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유의수준은 <2.2e -16으로 매우 낮게 나타나, 분석 결과가 신뢰성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상관계수는 약 0.4로(-1<r<1), 제법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암의 종양 크기가 크다면, 어느정도는 국소림프절의 수 또한 많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음을 반증한다.
cor.test(colonCS$T_SIZE, colonCS$LNEXAM, method = "pearson")
## ##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 ## data: colonCS$T_SIZE and colonCS$LNEXAM ## t = 16.203, df = 1397, p-value < 2.2e-16 ## alternative hypothesis: true correlation is not equal to 0 ##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 0.3526900 0.4409642 ## sample estimates: ## cor ## 0.3977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