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세 이상 노령자 폐암에서의 임상적 특징

76세 이상 노령자 폐암에서의 임상적 특징

2020 01 20

1. 대상논문

1)제목: 76세 이상 노령자 폐암에서의 임상적 특징

2)저자: 정선영 외 6인

3)게재지: 대한내과학회지: 제 82 권 제 5 호, 2012.

  1. 활용데이터

1)건수: 전쳬 폐암 레지스트리 데이터 중, 연령, ECOG 활동도, 흡연력 등의 속성이 밝혀진 데이터 1099 건

2)테이블: 폐암 대상자(LUNG_PT_TRGT) 등

본 논문은 노인 폐암 환자, 그중에서도 특히 치료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76세 이상인 환자들 데이터를 중심으로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 논문이다.

이번 시각화에선 본 논문에서 언급한 76세 이상 폐암 환자의 조직학적 분류 중에서 연령, 흡연력, ECOG 활동도, 총 세개의 지표에 대해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76세 이상 노령 폐암 환자의 연령 현황

논문에서는 분석대상인 총 341명의 환자 대상으로, 중앙 나이 값은 79세, 그중 80세 이상은 135명이라고 기록하였다.(논문 P.567) 이에 착안하여, 레지스트리 데이터 1099 건 대상으로 76세 이상 노령 환자의 연령비를 시각화하였다.

lung_graph1 <-

ggplot(lung1.1, aes(x=AGE, y=..count.., group=1)) + geom_area(stat = "count", alpha=0.6, fill="red")+ geom_vline(xintercept = median(lung1.1$AGE), linetype=2, size=1) + scale_x_continuous(breaks = seq(75,100,1)) + ggtitle("76세 이상 노령자 폐암 환자의 연령 현황") + labs(x="연령", y="환자수")+ theme_clean()

lung_graph1 + theme(legend.position = "bottom", plot.title = element_text(family = "serif",size=15, face="bold", hjust = 0.5, color = "darkblue"))

76세 기준으로 환자수와 연령은 반비례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중앙값은 78세로, 논문과 유사한 중앙 나이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80세 이상의 환자는 총 307명으로, 전체 36%를 차지하였다. 이는 논문의 80세 이상 환자 비율인 39.6%와 흡사한 비율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폐암 노령 환자의 흡연력

논문 P.563에서는 흡연력에 대한 환자 비를 기록했는데, 전체 중 68%로 드러났다. 이에, 폐암레지스트리 데이터의 ‘흡연력 유무’ 속성을 이용하여 흡연 비율을 알아보는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lung_graph2 <-

ggplot(lung1.2, aes(x="", y=..count.., fill= SMOKE_YN)) + geom_bar(stat="count", width = 1.0, color="white") + coord_polar(theta = "y", start = 0) + geom_text(mapping=aes(label=paste0(round(..count../sum(..count..)*100),"%")),stat ="count",vjust=-1.3, hjust=0.5, face="bold", size=5, position = position_stack(vjust = 0.5),color="white") + scale_fill_manual(values = c("#3399FF", "#FF3399")) + ggtitle("폐암 노령 환자의 흡연력", )+ labs(x="", y="", fill = "흡연 여부") + theme_minimal()

lung_graph2 + theme(legend.position = "bottom", plot.title = element_text(family = "serif",size=15, face="bold", hjust = 0.5, color = "darkblue"))

폐암 레지스트리 데이터 대상 시각화 결과, 흡연력이 있는 환자는 19%에 그쳤다. 이는 논문의 수치와 매우 동떨어진 수치인데,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데이터 원본 추출 상의 문제, 혹은 흡연 여부에 대해 ‘모름’, 미기입 등의 데이터를 제외시킨 결과 때문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노령 환자에 대한 ECOG 기준 활동도 비

논문에서는 노령 폐암 환자의 활동도에 대해, 활동도 1인 환자가 전체 40.6%, 활동력이 떨어지는 활동도 3~4는 전체 24.2%에 달한다고 기록하였다. 이에 본 시각화에서는 노령환자의 활동도 1~4까지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시각화 코드

lung_graph3 <- table(lung1.3$ECOG)

waffle(lung_graph3, rows = 25, colors=c("#FFCCCC","#FF9999","#FF0000", "#CC0033"), size=0.6, title="ECOG 기준 노령 환자의 활동도 비 ", legend_pos = "bottom", xlab="1square=1person") + theme(plot.title = element_text(family = "serif",size=15, face="bold", hjust = 0.5))

시각화 결과, 비교적 활동이 활발한 활동도인 1~2에 해당하는 환자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활동도 3과 4에 해당하는 환자 비율은 전체 약 26%로, 논문의 24.2%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활동도 1에 해당하는 환자 비율은 전체 약 36%로, 논문의 40.6% 보다는 낮았으나 그렇게 큰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