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호르몬 수치와 림프절 절제 수와의 관계

갑상선호르몬 수치와 림프절 절제 수와의 관계

2019 11 7

1.대상논문

1)제목: 갑상선 절제 시 수술 당일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와 저칼슘혈증의 예측도

2)저자: 장호영 외 7인

3)게재지: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71(4), 2016.

  1. 활용데이터

1) 건수: 2014년~2017년 사이 골밀도 검사 및 TSH 검사를 받은 갑상선암 환자 레지스트리 데이터 700 건

2)테이블: 갑상선암 initial영상검사(THRD_PE_MIEX_INIT), 갑상선암 방사성 요오드 치료(LAB)(THRD_PE_RAI_CEXM), 갑상선암 외과병리(LN)(THRD_PE_SPR_LN)

본 논문은 갑상선 절제 수술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 대상으로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와 저칼슘혈증 농도 등을 측정한 뒤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절제 범위에 따른 수치 변화로부터 분석결과를 산출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활용한 해당 시각화는, 데이터 부재 및 부족 등의 이유로 부갑상선 호르몬이 아닌 갑상선호르몬(TSH) 및 절제 범위 대신 림프절 절제 수, 마지막으로 골밀도 검사를 통한 골다공증 여부 등을 통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데이터

분석 대상인 갑상선암 환자 데이터는 총 700건으로, 이 중 골다공증으로 판정받은 환자는 300명, 정상인 환자는 400명으로 나타났다. 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경우, 250 이상인 데이터가 있었으나, 예외값을 고려하여 250으로 통일 시킨 뒤 분석을 진행하였다.

summary(thrt1)

## 환자번호 검사일 골밀도검사 골밀도검사결과 ## RN00616327: 1 2014-02-04: 6 Min. :4 골다공증:300 ## RN00878898: 1 2014-01-14: 5 1st Qu.:4 정상 :400 ## RN01404726: 1 2014-02-10: 5 Median :4 ## RN01593889: 1 2014-03-11: 5 Mean :4 ## RN01619689: 1 2014-04-15: 5 3rd Qu.:4 ## RN01762168: 1 2014-06-03: 5 Max. :4 ## (Other) :694 (Other) :669 ## 갑상선호르몬검사 갑상선호르몬수치 림프절절제수 ## TSH(핵의학):700 Min. : 0.07 Min. : 0.000 ## 1st Qu.: 59.90 1st Qu.: 1.000 ## Median : 93.05 Median : 2.000 ## Mean :101.53 Mean : 3.137 ## 3rd Qu.:131.00 3rd Qu.: 4.000 ## Max. :250.00 Max. :20.000 ##

림프절절제수 및 갑상선호르몬수치(TSF)와의 관계

논문 P.252에선 갑상선 절제 범위가 작아질수록, 수술 후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이에 착안하여, 해당 시각화에서는 갑상선호르몬수치인 TSF와 갑상선 림프절의 절제 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골밀도 영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상 및 비정상에 대해 색으로 표현하였다. 골밀도의 비정상유무는 시각화 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두 요소의 수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ggplot(thrt1, aes(x=림프절절제수, y=갑상선호르몬수치, color=골밀도검사결과)) + geom_point(shape=19, size=2.5) + stat_smooth(method = loess, se=FALSE) + ggtitle("TSF 수치와 림프절 절제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theme(plot.title = element_text(size=15, face="bold", hjust = 0.5)) + labs(x="림프절절제수", y="TSF 수치")

분석 결과

분석 결과는 논문과는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피어슨 방식으로 본 TSF 및 림프절 절제 수와의 상관 분석 결과는, 유의수준 0.891, 상관계수(-1<r<1)는 -0.0051로, 거의 의미가 없는 관계인 것으로 드러났다.

즉, 부갑상선호르몬 수치인 PTH는 갑상선 절제 정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지만, 갑상선호르몬 수치인 TS와는 큰 관련이 없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cor.test(thrt1$갑상선호르몬수치, thrt1$림프절절제수, method="pearson")

## ##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 ## data: thrt1$갑상선호르몬수치 and thrt1$림프절절제수 ## t = -0.13708, df = 698, p-value = 0.891 ## alternative hypothesis: true correlation is not equal to 0 ##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 -0.07926096 0.06894076 ## sample estimates: ## cor ## -0.005188591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