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eStudy
  • CaseStudy
  • 01. 레지스트리
    • 간암
      • 간암 간 절제술을 시행한 간세포암 환자의 연령군별 임상적 특성 및 치료성적 비교
        • 간세포암 환자들의 연령군 별 임상학적 특성
      • 한국인에서 간암발생의 위험요인 분석
        • 간암 발생의 요인 분석
      • 간암환자의 혈청 CA19-9와 AFP 수치와의 관계 및 현황
        • 간암환자의 혈청 CA19-9와 AFP 수치와의 관계 및 현황
      • 원발성 간암환자의 간염 바이러스 감염유형에 따른 임상양상 및 예후
        • 간암환자의 간염 바이러스 유형에 따른 임상양상
      • 40세 이하에서 발생한 원발성 간암의 임상상
    • 갑상선암
      • 갑상선유두암에서 갑상선전절제술과 중심경부림프절절제술 후 발생하는 저칼슘혈증 예측 인자 연구
        • 갑상선호르몬 수치와 림프절 절제 수와의 관계
      • 갑상선 협부내 유두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 갑상선 유두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
      • 미세유두상 갑상선암
      • 장기간의 갑상선 호르몬 술 후 대체요법 시 골밀도의 변화
        • TSH수치 및 연령, 골밀도와의 관계
      • 유두 미세 갑상선암 임상병리적 특성과 치료전략
      • 치료방법이 미분화 갑상선암의 생존 기간에 미치는 효과
      • 폐 전이 유두상 갑상선암의 예후인자 분석
    • 구강암
      • 구강설에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의 특성과 치료효과
      • 구강암의 위험요인 분석을 위한 환자-대조군 연구
      • 한국인 구강암 환자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발현율 분석
      • 구강암의 방사선치료
      • 국소 진행성 구강암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의 효과
    • 대장암
      •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
      • 대장암 환자에서 근치적 수술 치료 후 연령이 재발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30세 이하 산발성 대장암 환자의 임방 병리학적 특징
      • 대장 직장에서 점액성 선암의 임상적 특징
      • 대장내시경 소견에 기초한 연령에 따른 대장암의 분포
    • 방광암
      • 방광암에서 p53, Rb, PTEN 발현의 임상적 의의
        • 방광암에서 암 분화도에 따른 p53 발현의 임상적 특성
      • 한국인에서 흡연이 방광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향적 COHORT 연구
        • 흡연이 방광암에 미치는 영향
      • 표재성 방광암에서의 예방적 BCG(Bacillus Calmette - Guerin)의 방광 내 주입요법의 예후인자에 관한 연구
      • 방광암에서 Ki-67, Apoptotic index, bcl-2, p53의 유용성 연구
      • 근침윤성 방광암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을 통한 방광보존치료
        • 침윤성 방광암 환자현황: 연도에 따른 T병기 및 성별
      • 방광암의 진단에서 NMP-22 Test, BTA TRAK Assay 및 요세포검사의 비교
    • 소아청소년암
      • 소아 뇌종양 발생위치에 따른 임상양상 고찰
      • 소아 급성백혈병에서 CD33 및 CD34의 발현이 갖는 임상적 의의
      • 소아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치료 중간과 후에 보이는 뇌의 이상 영상 소견
      • B세포비호지킨림프종 환자의 골수에서 면역글로불린유전재재배열 검사의 임상적 의의
      • 소아 백혈병 환자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전처치로서 전신방사선 조사 포함군과 비포함군의 비교
    • 유방암
      • 한국 여성에서 신체질량지수와 유방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신체질량지수로 확인하는 유방암
      • 35세 이하 젊은 여성의 유방암, 영상소견, 병리학적, 조직화학 특성과의 상관관계
        • 면역병리학 지표로 본 젊은 여성의 유방암
      •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 젊은 유방암 환자와 BRCA 1/2호르몬 돌연변이
      • 유방암 수술 환자의 임상적 고찰
        • 유방암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 40세이상 여성에서 유방치밀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
      • 유방암 수술 2000예의 임상적 분석
      • 유두상 유방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 인자
    • 위암
      • 국내 노인 위암 환자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 특성
        • 노년층 위암 환자의 특징 분석
      • 위암의 임상적 고찰
      • 양극단 연령층 위암 환자의 질병관련 생존율 비교
      • 위암환자의 혈청 CEA, CA19-9 및 AFP에 관한 연구
      •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의 연도별 변화
    • 육종암
      • 골육종의 예후인자
        • 골육종의 예후인자
      • 한 기관에서 경험한 육종성 간세포암의 임상적 특징
        • 육종성 간세포암의 임상적 특징
      •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위 평활근육종의 임상적 고찰
      • 사지에 발생한 지방육종
      • 포상연부육종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고찰
    • 자궁암
      •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 자궁경부암의 위험 인자로서 환자의 비만도에 대한 분석
      • 최근 15년간 한국에서의 자궁 내막암의 생존율 및 치료 방법의 변화
      • 자궁경부암 환자 혈청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 16 DNA와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의 관계
      • 자궁경부암 환자 2209예의 임상병리학적 양상 및 5년 생존율
    • 폐암
      •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2000년 이후 진단된 폐암의 임상 특성
      • 폐암과 염증성 폐질환에 있어서 전폐절제술 후의 경과 비교
      • 한국인의 흡연습관에 따른 폐암발생의 비교위험도
      • 76세 이상 노령자 폐암에서의 임상적 특징
        • 76세 이상 노령자 폐암에서의 임상적 특징
      • Efficac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Pacli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 02. 암병기
    • 간암
      • 연도 별 간암 발생 통계
        • 연도 별 간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간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간암 발생 통계
      • TNM 병기에 따른 연도별 간암 발생 통계
        • TNM 병기에 따른 연도별 간암 발생 통계
      • B형 및 C형 간염 여부에 따른 간암 환자 비율
        • B형 및 C형 간염 여부에 따른 간암 환자 비율
      • 간암 환자의 알부민 수치 및 빌리루빈 수치의 관계
        • 간암 환자의 알부민 수치 및 빌리루빈 수치의 관계
    • 대장암
      • 대장암 종양 크기와 국소림프절 수와의 상관관계
        • 대장암 종양 크기와 국소림프절 수와의 상관관계
      • 대장암 환자의 CEA수치와 나이와의 관계
        • 대장암 환자의 CEA수치와 나이와의 관계
      • 연도 별 대장암 발생 통계
        • 연도 별 대장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대장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대장암 발생 통계
      • 대장암 여성 환자의 T 병기 분포
        • 대장암 여성 환자의 T 병기 분포
    • 위암
      • 위암 환자의 SEER 요약병기에따른 환자 비율
        • 위암 환자의 SEER 요약병기에따른 환자 비율
      • 연도별 위암 발생 통계
        • 연도별 위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위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위암 발생 통계
      • 위암 환자의 TNM 병기 별 성비
        • 위암 환자의 TNM 병기 별 성비
      • 위암 환자의 연령 별 분화도
        • 위암 환자의 연령 별 분화도
    • 유방암
      • 유방암 환자의 종양 크기와 분화도
        • 유방암 환자의 종양 크기와 분화도
      • 연도별 유방암 발생 통계
        • 연도별 유방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유방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유방암 발생 통계
      • TNM 병기에 따른 연도별 유방암 발생 통계
        • TNM 병기에 따른 연도별 유방암 발생 통계
      • 유방암 환자의 TNM 병기에따른 환자 비율
        • 유방암 환자의 TNM 병기에따른 환자 비율
    • 직장암
      • 직장암 환자의 AJCC N병기에 따른 M병기 경향
        • 직장암 환자의 AJCC N병기에 따른 M병기 경향
      • 연도 별 직장암 발생 통계
        • 연도 별 직장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직장암 발생 통계
        • 성별 별 직장암 발생 통계
      • TNM 병기에 따른 연도별 직장암 발생 통계
        • TNM 병기에 따른 연도별 직장암 발생 통계
      • 직장암 환자의 CEA수치와 나이와의 관계
        • 직장암 환자의 CEA수치와 나이와의 관계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유방암 환자들의 연령 분류
  • 유방암 환자들의 과거력 중 초경연령의 비율
  • 유방암 환자들의 초기 자각 증상

Was this helpful?

  1. 01. 레지스트리
  2. 유방암
  3. 유방암 수술 환자의 임상적 고찰

유방암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Previous유방암 수술 환자의 임상적 고찰Next40세이상 여성에서 유방치밀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

Last updated 5 years ago

Was this helpful?

유방암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연령, 과거력, 초기 증상

1. 대상논문

1)제목: 유방암 수술 호나자의 임상적 고찰

2)저자: 이재설, 배영태

3)게재지: 한국유방암학회지 제 7권 제3호

2. 활용데이터

1)건수: 2012년~2014년 유방암 진단 받은 환자 중 초경일이 기록된 유방암 환자 레지스트리 데이터 607 건

2)테이블: 유방암 대상자 정보(BRST_PT_TRGT), 유방암 환자건강 정보 (BRST_PE_HLTH), 유방암 수술전소견(BRST_PE_OPRT_PRE)

본 논문은 외과 수술을 시행 받은 유방암 환자 300 여 명에 대해, 임상적 특성, 수술방법, 과거력, 연령대 등 총 10 개의 특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실시한 논문이다. 이 10개의 특성 중, 추출이 가능하며 수치화할 수 있는 데이터인 연령대, 과거력 중 초경나이, 임상적 특성, 총 세 개의 특성에 대해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유방암 환자들의 연령 분류

논문에서 정한 Age distribution의 기준대로, 환자의 각 나이를 분류하여 Barplot으로 시각화를 실시하였다.(논문 P.175, Table1.Age Distribution)

논문 내 결과와 마찬가지로, 40대에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고, 그 다음은 50대가 차지하였다.

ggplot(brst1,mapping=aes(x=DIAG_AGE, y=..count.., fill=DIAG_AGE)) + geom_bar(stat="count", color="white") + ggtitle("유방암 연령군 별 환자수")+ scale_fill_brewer(palette=4) + geom_text(mapping=aes(label=paste0(round(..count../sum(..count..)*100),"%")),stat ="count", vjust=1.0, hjust=0.5, color="black") + theme(plot.title = element_text(size=15, face="bold", hjust = 0.5)) + labs(x="연령군", y="환자수")

유방암 환자들의 과거력 중 초경연령의 비율

다음은 과거력 중 초경 정보에 대한 시각화 결과이다.(논문 P.177, Table 10.Risk factor)

논문과 마찬가지로 14세에서 20세 사이의 초경을 겪은 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외의 환자들은 14세 전에 초경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분석 대상 환자 데이터 중, 20세 이상인 경우는 논문과는 다르게 존재하지 않았다.

ggplot(brst1, aes(x="", y=..count.., fill=MENA_AGE)) + geom_bar(stat="count", width = 1.0, color="white") + coord_polar(theta = "y", start = 0) + geom_text(mapping=aes(label=paste0(round(..count../sum(..count..)*100),"%")),stat ="count",vjust=-1.3, hjust=0.5, face="bold", size=5, position = position_stack(vjust = 0.5),color="white", face="bold") + ggtitle("초경 연령비", )+ theme(plot.title = element_text(size=15, face="bold", hjust = 0.5)) + labs(x="", y="")

## Warning: Duplicated aesthetics after name standardisation: face

## Warning: Ignoring unknown parameters: face

유방암 환자들의 초기 자각 증상

마지막으로, 환자들의 초기 임상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논문 P.175, Table 2. Clinical manifestation) 임상적 특성 중 초기 내원한 이유에 대해, 혹도 없고 통증도 없는 무증상, 두 경우 모두 겪은 동통성종괴, 혹은 없으나 통증만 있는 단순통증, 혹은 있으나 통증은 없는 무통성종괴촉지, 총 네 분류로 구분하여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해당 시각화 역시 논문과 마찬가지로 무통성종괴촉지로 내원하는 경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외 세 개의 Case들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로 미루어볼 때, 유방암 환자들은 대체로 통증 없는 혹을 발견하고 유방암을 자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gplot(brst1, aes(x="", y=..count.., fill=증상)) + geom_bar(stat="count", width = 1.0, color="white") + scale_fill_brewer(palette=4) + coord_polar(theta = "y", start = 0) + geom_text(mapping=aes(label=paste0(round(..count../sum(..count..)*100),"%")),stat ="count",vjust=0, hjust=0.5, size=4,position = position_stack(vjust = 0.5), face="bold", color="black") + ggtitle("유방암 환자들의 초기 임상적 특성")+ theme(plot.title = element_text(size=15, face="bold", hjust = 0.5))

## Warning: Ignoring unknown parameters: 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