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유방암 환자와 BRCA 1/2호르몬 돌연변이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젊은 유방암 환자와 BRCA 1/2호르몬 돌연변이
2019 11 14
1.대상논문
1) 제목: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 1/2 돌연변이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2) 저자: 최두호 외 4인
3) 게재지: 대한방사선중앙학회지 2008;(1):65~73
활용데이터
1) 건수: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약 5년 간 유방암을 진단받은 40세이하 환자 레지스트리데이터 732건
2) 테이블: 유방암 대상자(BRST_PT_TRGT), 유방암 면역병리(BRST_PE_IMNL),유방암 유전검사 BRCA1(BRST_PE_GENE_BRCA1), 유방암 유전검사 BRCA2 (BRST_PE_GENE_BRCA1)
본 논문은 40세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들의 BRCA1/2의 돌연변이 여부와 ER스코어, Her2 등의 호르몬 지표에 대해 조사하여 젊은 유방암 환자들의 생체 특징을 도출한 논문이다. 본 시각화에서는 해당 논문의 결과(P.68) 부분 중, ER-Score와 BRCA1/2의 관계 및 젊은 유방암 환자 층에서 가지는 비율에 대해 다룬 부분에 착안하여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우선 논문 내에서 언급한 젊은 유방암 환자의 BRCA 1/2 돌연변이 비율(101명 중 14명, 약 14%)과, 유방암 레지스트리 데이터와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732 건 중, BRCA1, 2 중 한 지표라도 양성인 경우는 총 50건으로, 전체 약 7%에 불과했다. 표본 수의 차이로 인해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거나, 분석 대상 데이터의 특이성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brst3y1 <- table(brst3y$BRCA1.2돌연변이)
waffle(brst3y1, rows = 20, colors=c("#a6cee3","#fb9a99","white"), size=1.0, title="젊은 유방암 환자 중 BRCA 유전자 돌연변이 보유 환자", legend_pos = "bottom", xlab="1square=1person") + theme(plot.title = element_text(family = "serif",size=15, face="bold", hjust = 0.5))
다음은, 논문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ER Score가 음성인 경우, BRCA 유전자 돌연변이일 가능성이 높을지 Er Score 양성 여부에 따라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x축을 ER score 양성과 음성으로 놓고 볼 때, BRcA유전자가 돌연변이 일 경우는 ER Score가 음성일 경우가 전체에서 약 1% 정도 높았다. 그러나 돌연변이가 아닌 환자수는 양성의 2분의 1보다 적기에, 실제 돌연변이 비율은 ER Score 음성일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음성 별 차지하는 돌연변이 비율은 각각 4.3%, 12.5%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