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암 환자의 AJCC N병기에 따른 M병기 경향

직장암 환자의 AJCC N병기에 따른 M병기 경향

2019 12 16

  1. 활용데이터

  2. 건수: 2014년 직장암 환자 암 병기 데이터 중, AJCC_M 및 AJCC_N 항목의 MX, NX 환자 데이터를 제외한 1092건

  3. 활용 속성: AJCC_M, AJCC_N

  4. 설명

본 시각화는 2014년 직장암 암병기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로, 전체 환자의 N병기(N0,N1,N2)에 따른 M병기 비율(M0,M1)을 시각화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직장암 환자 N병기와 N병기의 비율 및 관계

직장암 환자의 AJCC병기에 따른 N병기 비율과 M병기 비율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Barpot을 구성하여,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시각화 결과,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N병기의 환자 수 비율이었다.

국소림프절이 암과 관련없는 N0이 전체의 50%로 제일 높았고, 이후 N1 및 N2가 각각 28%, 23%를 차지했다. 또한 N병기로 나누어진 세 그룹에서, M병기 기준으로 표현된 비율은 M0이 M1의 환자보다 크게 높았다. 특히, 국소림프절이 관련없는 N0 그룹에서 원격 전이가 없는 M0 비율이 다른 두그룹에 비해서 월등히 높았다.

위 결과를 통해, 원격전이 여부가 국소림프절 수의 정도에 따라 크게 갈린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ggplot(rectumCS,mapping=aes(x=AJCC6_N, y=..count.., fill=AJCC6_M)) + geom_bar(stat="count", color="white") + ggtitle("직장암 환자 N병기에 따른 M병기 비율")+ scale_fill_brewer(palette=4) + geom_text(mapping=aes(label=paste0(round(..count../sum(..count..)*100),"%")),stat ="count", vjust=1.0, hjust=0.5, color="darkblue", size=5, position = position_stack(vjust = 0.5)) + theme(plot.title = element_text(size=15, face="bold", hjust = 0.5)) + labs(x="N병기", y="환자수", fill="M병기")

Last updated